Kotlin basic class
생성자
생성자는 주 생성자(Primary Constructor)와 부 생성자(Secondary Constructor)로 나뉘며 필요에 따라 주 생성자 혹은 부 생성자를 사용할 수 있다. 부 생성자는 필요하면 매개변수를 다르게 여러 번 정의할 수 있다.
선언부를 간략화 하기 위해 매개변수 선언부에 val혹은 var을 사용해 프로퍼티로 선언할 수 있다.
class Bird(var name: String, val wing: Int, var beak: String){ //주 생성자에 프로퍼티 바로 선언도 가능
//프로퍼티 선언 방식
/*
var name: String = _name
val wing: Int = _wing
var beak: String = _beak
*/
/*
constructor(name: String, wing: Int, beak: String){ // 부생성자 아래와 같지만 this를 통해 위에 선언된 변수선언
this.name = name
this.wing = wing
this.beak = beak
}
*/
/*
constructor(_name: String, _wing: Int, _beak: String){ // 부생성자
name = _name
wing = _wing
beak = _beak
}
*/
init { //객체를 생성하면 자동적으로 실행됨
println("---------- init start ----------")
name = name.capitalize()
println("name : $name, wing: $wing, beak: $beak")
println("---------- init end ------------")
}
//메서드
fun fly(){
println("Fly")
}
}
fun main() {
val coco = Bird("coco", 2, "long")
coco.fly()
println(coco.name)
println(coco.wing)
println(coco.beak)
}
상속
상속 가능한 클래스를 선언할 때 앞에 open 키워드를 사용해야 파생 클래스에서 상속할 수 있다.
다형성
동일한 것처럼 보이지만 매개변수가 서로 다른 형태를 취하거나 실행 결과를 다르게 가질 수 있는 것을 다형성(polymorphism) 이라고 한다.
상위와 하위 클래스에서 메서드나 프로퍼티의 이름은 같지만 기존의 동작이 다른 동작으로 재정의하는 것을 오버라이딩(overriding)이라고 부른다.
동작은 동일하지만 인자의 형식만 달라지는 경우로 오버로딩(overloading) 이라고 부른다.
open class Bird (var name: String, var wing: Int, var beak: String){ //open은 상속을 받게 해줌
open fun fly(){ //override를 하게끔 해줌
println("Fly")
}
}
//부모 클래스 생성자 프로퍼티를 가져와서 Lark 주생성자에 받아줌
open class Lark(name: String, wing: Int, beak: String) : Bird(name, wing, beak) {
final override fun fly(){ //파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 금지 final
println("Quick Fly")
}
fun singHitone(){
println("sing hition")
}
}
class Parrot : Bird {
var language: String
//부모 생성자를 상속 받고 Parrot 클래스만의 프로퍼티 this로 받음
constructor(name: String, wing: Int, beak: String, language: String) : super(name, wing, beak){
this.language = language
}
override fun fly(){
println("Slow Fly")
}
fun speak(){
println("speak: $language")
}
}
fun main() {
val lark = Lark("mylark", 2, "short")
val parrot = Parrot("myparrot",2,"logn","English")
println("lark - name : ${lark.name}")
println("parrot -name : ${parrot.name} , lang: ${parrot.language}")
lark.singHitone()
lark.fly()
parrot.speak()
parrot.fly()
}
super, this
super를 사용하면 상위 클래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 생성자를 사용할 수 있다.
this를 이용해 프로퍼티, 메서드, 생성자 등을 참조할 수 있다.
open class Person {
constructor(firstName: String) {
println("[Person] firstName: $firstName")
}
constructor(firstName: String, age: Int) { // ③
println("[Person] firstName: $firstName, $age")
}
}
class Developer: Person {
constructor(firstName: String): this(firstName, 10) { // ①
println("[Developer] $firstName")
}
constructor(firstName: String, age: Int): super(firstName, age) { // ②
println("[Developer] $firstName, $age")
}
}
fun main() {
val sean = Developer("Sean") // 시작
}
캡슐화
메서드, 프로퍼티의 접근 범위 가시성을 아래와 같이 지정할 수 있다.
- private: 이 지시자가 붙은 요소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다.
- public: 이 요소는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하다. (기본값)
- protected: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으나 하위 상속 요소에서는 가능하다.
- internal: 같은 정의의 모듈 내부에서는 접근이 가능하다.
private class PrivateText {
private var i = 1
private fun privatFunc(){
i += 1
println(i)
}
fun access(){ //public
privatFunc()
}
}
class OtherClass {
// val pc = PrivateText() 클래스에서 공개 생성 불가
fun test() {
val pc = PrivateText() // 분리된 함수에서는 생성 가능
pc.access()
}
}
fun main() {
val pc = PrivateText()
// pc.i = 3 접근 불가
// pc.privatFunc() 접근 불가
pc.access()
}
- 아래는 protect에 대한 예시
open class Base{
protected var i = 1
protected fun protectedFunc(){
i += 1
println(i)
}
fun access() {
protectedFunc()
}
}
class Derived : Base() {
var j = 1 + i
fun derivedFunc(): Int{
protectedFunc() // Base 클래스의 메서드 접근 가능
return i // Base 클래스의 프로퍼티 접근 가능
}
}
class Other {
fun other() {
val base = Base()
// base.i = 3 접근 불가가
}
}
fun main() {
val base = Base()
base.access()
val derived = Derived()
derived.j = 3
derived.derivedFunc()
}